[Python]

[Python 공부] 리스트의 기초?

위대한먼지 2023. 8. 29. 21:00

안녕하심까! 다시 돌아온 파이썬 공부입니다.
 
오늘은 기초 오브 기초, 리스트를 공부 해봅시다.
 

 

리스트는 뭘까?)

리스트(list)는 여러가지 원소(element)들을 저장하는 배열(array)의 한 종류입니다. 파이썬에는 리스트말고도 다른 종류의 배열들 또한 존재하죠.
 

배열의 종류

 

리스트의 성질)

리스트는 다른 배열들과는 달리 범용성이 뛰어난 편입니다. 
 
리스트를 구분짓는 가장 상징적인 성질 3가지를 꼽자면
1. 원소들이 색인(indexing) 가능하다
2. 원소들을 바꿀 수 있다(mutable)
3. 중복된 원소들을 저장할 수 있다
 
위의 말들이 복잡해 보일 수도 있지만 말하고자하는 내용들은 쉬우니 바로바로 설명해봅시다.
 

1. 색인(indexing)이 가능하다)

간단합니다. 리스트 안의 원소들에게 몇 번째 원소인지 숫자가 붙는다는 뜻입니다.
 

#index:  0       1      2
ls = ["Gaebal", "o", "Gaebal"]

print(ls[0])
# Gaebal

print(ls[1])
# o

print(ls[2])
# Gaebal

 
위의 ls라는 리스트에 3개의 원소가 들어있는데, 왼쪽에서부터 0번째, 1번째, 2번째 원소라는 뜻이죠.
파이썬은 번호를 매길 때 0번부터 시작하는 방식을 채택합니다.
 
리스트 안의 원소들을 다루고 싶을 때는 index operator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대괄호죠.
0번째 원소를 다루고 싶을 때는 ls[0], 2번째 원소를 다루고 싶을 때는 ls[2] 등등 대괄호 안에 다루고자하는 인덱스를 넣어 접근이 가능합니다.

 

인덱스를 이용하여 원소에 접근

 

2. 원소들을 바꿀 수 있다(mutable))

말 그대로 리스트 안의 원소들을 멋대로 해도 됩니다.
 
원소들의 값을 변경해도 되고 원소들을 제거해도 되고 하고싶은대로 하십쇼. 값을 변경할 때는 대괄호를 이용해서 그 원소에 접근을 한 뒤 값을 변경해주면 됩니다.

 

원소를 변경해주는 모습

 

# index:  0       1      2
ls = ["Gaebal", "o", "Gaebal"]

print(ls)
# ['Gaebal', 'o', 'Gaebal']

ls[0] = "Hell"

print(ls)
# ['Hell', 'o', 'Gaebal']
# 처음과는 다른 ls가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3. 중복된 원소들을 저장할 수 있다)

말 그대로 같은 값을 지닌 원소들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가 같은 값의 원소드들을 갖고 있는 모습

 

ls = [1, 1, 1, 1]

ls = ['hello', 'hello', 'hello']

ls = [True, True, True]

 
이런 식으로 원소들이 정수(int)든, 문자열(string)이든, 불(boolean)이든 상관없습니다.
 
 
 
원래는 좀 더 자세히 더 많은 내용을 다루고 싶었는데 제 욕심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초부터 하나하나씩 코딩을 거의 처음하는 사람이 읽는다고 생각하고 꾸준히 글들을 올려보겠습니다. 제가 더 공부가 필요한 부분 또한 충분히 숙지 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w3schools
GeeksforGeeks